Javascript - if문과 switch문
먼저 if문부터 살펴보겠다.
let number = 5;
if (number & 2 === 0) {
console.log('number 변수는 짝수입니다.');
}else {
console.log('number 변수는 홀수입니다.');
}
로 조건을 세웠을 때, 먼저 number 변수에 5를 선언해주고 number를 2로 나누었을때 나머지가 0이면 number 변수는 짝수입니다. 를 반환해주고 나머지가 0이 아니라면 number 변수는 홀수입니다. 를 반환해줘라 라는 내용으로 작성 되는 것이
if문이다.
하지만 if문은 단순하게 if 와 else로만 쓸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중간에 else if 를 넣어서
여러개의 조건을 동시에 작성할 수 있다.
예시로 보자면
if (number % 2 === 0) {
console.log('2의 배수입니다.');
}else if (number % 3 === 0) {
console.log('3의 배수입니다.');
}else if (number % 4 === 0) {
console.log('4의 배수입니다.');
} else if (number % 5 === 0) {
console.log('5의 배수입니다.');
}else {
console.log('2,3,4,5의 배수가 아닙니다.');
}
로 작성할 수 있는데 쉽게 말하자면
if로 처음 조건식을 세워주고 number 를 2로 나누었을때 나머지가 0이면 2의 배수입니다를 반환해주고
else if로 if문처럼 조건식을 동일하게 세워서 number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면 3의 배수입니다를
반환해주는 등 else if도 if 와 동일하게 조건식을 세우면 된다.
그리고 나서 if와 else if 조건식에 모두 포함하지 않는 나머지 조건이라면 else를 써서
반환하고자 하는 내용만 작성해주면 된다.
다음은 switch 문이다.
switch문의 예시를 먼저 보자면,
const englishDay = 'monday';
let koreanDay;
switch(englishDay) {
case 'monday':
koreanDay = '월요일';
break;
case 'tuesday':
koreanDay = '화요일';
break;
case 'wednesday':
koreanDay = '수요일';
break;
case 'thursday':
koreanDay = '목요일';
break;
case 'friday':
koreanDay = '금요일';
break;
default:
koreanDay = '주말';
break;
}
console.log(koreanDay)
로 작성할 수 있는데 switch문의 제일 큰 특징은 case로 값을 넣고 break를 꼭! 써서
작성중인 switch문을 빠져나올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그래서 제일 먼저 `const englishDay = 'monday'로 변수 선언을 해주고 이 변수를 한국어로 바꿔보기 위해
let koreanDay; 로 선언을 해준다.
그 다음 switch(변수명)을 써서 case가 'monday'일 경우, koreanDay에 월요일을 출력해줘 라고 선언한 후
1개의 case가 끝났으니 빠져나와!라는 의미로 break를 꼭 쓴 후 다음 case를 써야 한다.
if문은 좀 이해 됐는데 switch문은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좀 헷갈린다,,😭